단통법 뜻
우선 본론에 들어가기 앞서 단통법이란 무엇이며
단통법 폐지가 좋은 점인지 나쁜 점 것인지에 대해
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단통법은 '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'
즉 휴대폰 유통구조 개선에대한 법안이었습니다.
2010년부터 본격적인 스마트폰 보급이 되면서
과열된 시장에 대응하여 정부에서 시행한 법안입니다.
이동통신 3 사간 무분별한 보조금과 할인 정책 등을 미끼 삼아
고객을 유치하는 행위를 법으로 막아버린 것이 단통법입니다.
공시지원금을 이동통신 3사가 비슷한 가격으로 지원해주고 있습니다.
즉, 지원금상한제를 실시하여
휴대폰을 구매하는 모두가 비싸게 살 수밖에 없는 구조를
만들어준 게 단통법입니다.
시장 자율 경쟁을 막고 휴대폰 구조에 대해 잘하는 사람은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었으며
모르는 경우는 웃돈을 주고 구매해야 하는 경우가 생겨났습니다.
이 같은 상황을 잘 알기에 단통법폐지를 원하는 경우가 훨씬 많았고
결국 10여 년 만에 단통법폐지 법안이 통과되어
25년 중반기쯤 시행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
단통법폐지가 되면 각 통신사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
지원금 프로모션이라던지 약정할인, 신제품의 휴대폰을
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겠지만
판매점들과의 과도한 경쟁이 또 다른 피해로 다가오진 않을지 걱정입니다.
단통법폐지가 되면 알뜰폰 이용자의 변화도 주목해야 하는데요
보조금이 많거나 , 할인폭이 큰 통신사로 이동한다가 48% 비중으로
알뜰폰의 최대 강점인 가격경쟁에서 경쟁성을 잃을 것이다라는
비판의 목소리도 많습니다.
폐지가 시행이 되면 지켜봐야겠지만 분명 휴대폰시장의 변화의 바람은
불가피해 보입니다.
휴대폰 구매를 생각하시는 분들은 단통법폐지 이후 구매를 고려해 보시는 게
좋을 거 같습니다.